뉴스코어

IMF,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 2.5%로 내리고 물가는 4%로 올려

기재부 “성장률 조정, 선진국 대비 제한적…물가, 유류세 인하로 일부 상쇄”
세계 경제성장률은 0.8%p 내린 3.6% 전망…하방 리스크 확대 가능성

이예지 | 기사입력 2022/04/21 [07:58]

IMF,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 2.5%로 내리고 물가는 4%로 올려

기재부 “성장률 조정, 선진국 대비 제한적…물가, 유류세 인하로 일부 상쇄”
세계 경제성장률은 0.8%p 내린 3.6% 전망…하방 리스크 확대 가능성
이예지 | 입력 : 2022/04/21 [07:58]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지난 1월 전망치보다 0.5%p 내린 2.5%로 내다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유가 상승 등으로 4.0%로 대폭 올렸다.

 

2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19일(현지시각)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EO)에서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제시했다. 이는 1월 수정 보고서 및 지난달 연례협의 보고서를 통해 밝힌 3.0%보다 0.5%p 내린 수치다.

 

기획재정부는 “전쟁 영향이라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나 (조정폭은)주요 선진국 대비 제한적”이라며 “IMF 미션단의 기고문에 따르면 전쟁 이후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대되는 와중에도 한국은 상대적으로 회복력을 보인다고 평가했다”고 전했다.

 

  ©



IMF의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주요 기관과 비교하면 정부 3.1%, 한국은행 3.0%,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 투자은행(IB) 평균 3.0%, 피치 2.7%, 무디스 2.7%보다 낮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2.5%와 같다.

 

IMF는 한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월 수정 전망 때와 같은 2.9%를 제시했다.

 

코로나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를 제거한 2020∼2022년 3년간 평균 성장률은 1.85%로 주요 7개국(G7)과 비교할 때 미국(1.92%)에 이어 2위로 나타났다.

 

2020∼2023년 4년간 평균 성장률(2.11%)은 미국(2.02%), 캐나다(1.42%) 등 G7 국가들의 성장률을 웃돌았다.

 

지난해 주요국 중 가장 먼저 코로나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한 한국은 올해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내년에는 회복 속도가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됐다.

 

IMF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4.0%로 봤다. 지난달 연례협의 당시 3.1%보다 0.9%p 상향 조정했으나 주요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



기재부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유가 상승 등의 영향이 정부의 유류세 인하 등의 노력으로 일부 상쇄됐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3.6%로 1월 수정 전망치 대비 0.8%p낮아졌다. 우크라이나 전쟁, 긴축적 통화·재정정책, 중국 성장둔화, 코로나 영향 등에 기인한다.

 

올해 그룹별 성장률 전망치는 선진국의 경우 3.3%로 기존보다 0.6%p 낮췄고, 신흥국은 1.0%p 낮춘 3.8%로 전망했다.

 

IMF는 세계 경제에 하방 리스크가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전쟁 악화로 인한 공급망 훼손, 물가상승 등 직접 효과뿐만 아니라 러시아의 채무 불이행에 따른 대차대조표 위험 등 간접효과도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장기적으로는 보호주의, 기술교류 제한 등으로 세계경제 통합 및 국제질서가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유가·식품 가격 폭등 및 난민에 따른 사회적 불안, 코로나 재확산 및 변이 가능성, 중국 성장둔화 장기화, 금리 인상 및 부채부담 증가 등도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IMF는 국가별 상황에 맞는 유연한 재정·통화정책 등을 추진한 것을 권고했다.

 

우선 재정 여력의 확보를 위해 확대된 재정지원을 축소하되, 전쟁 및 코로나 취약계층에 대한 선별지원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세원 확대, 반복적 지출 및 광범위한 보조금 축소 등 중기 재정건전성 확보도 강조했다.

 

기대인플레이션 관리, 선진국 통화 긴축에 대응하기 위한 신흥국의 금리 인상 확대 고려, 기업 파산·회생 지원 강화, 외채 만기 연장, 환율 유연성 확보, 신흥국 자본유출 시 예외적 외환시장 개입 고려 등도 제언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