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R&D 100조원 시대 걸맞게…12개 국립연구기관 혁신 추진조직·인력운영 유연화…기관 간 연계협력 활성화·개방형 연구생태계 구축
12개 국립연구기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손잡고 국가 연구개발(R&D) 100조원 시대에 걸맞는 기관혁신을 추진하기로 했다.
연구조직·인력운영 유연화, 자체 연구역량 강화, 기관 간 연계협력 활성화 등 과기정통부가 제시한 혁신방향에 따라 코로나19 백신개발지원 등 소관분야 공공연구 및 정책지원 기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과기정통부 등 9개 중앙행정기관 및 각 중앙행정기관 소속 12개 국립연구기관은 이 같은 내용의 기관별 혁신 추진계획을 수립해 8일 발표했다.
과기정통부 등 11개 관계부처는 지난 2018년 7월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확정된 국가R&D 혁신방안에 따라 국립연구기관,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등 정부출연연구기관 외 공공연구기관의 혁신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이번 추진계획은 기관별 혁신을 위한 세부 이행계획이다.
기관별 추진계획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연구 중심의 국립연구기관 운영체계을 구축하기로 했다.
12개 국립연구기관은 향후 급변하는 연구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기관의 연구조직, 인력 운영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한편, 대내외 환경변화를 반영해 대학, 출연연, 기업 등과 차별화되는 기관의 임무 중심 중장기 R&D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다.
수산과학원은 수산분야 R&D 정책방향에 따라 조직간 업무를 조정해 통폐합하고 수산종자육종연구소, 첨단양식실증센터 및 사업화지원팀(비직제) 등은 신설한다.
식의약안전평가원은 출연R&D 관리기능을 전문기관 위탁, 자체연구몰입환경을 조성하고 산림과학원은 대내외 R&D 환경변화에 따른 중장기 기술개발계획을 점검·개편하며, 국립보건연은 스타급 연구자 육성을 위해 연구집중환경을 제공하는 ‘집중연구단’을 도입한다.
또한 국립연구기관의 전주기 R&D 추진체계를 고도화하기로 했다.
12개 국립연구기관은 ▲개방형 기획 활성화 ▲기관 자체 R&D 수행역량 강화 ▲R&D 평가의 전문성 제고 ▲기관별 R&D 성과관리·활용체계 고도화 등을 통해 기관의 R&D 전 주기 추진체계를 고도화하고, 정부임무중심 R&D 역량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검역본부는 개방형 R&D 강화, 유전자원·차폐시설 공동 활용을 통한 민간협업 확대를 추진하고, 생물자원관은 외부전문가 및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리빙랩 R&D 추진체계를 도입한다.
재난안전연은 자체 R&D 수행 비중을 오는 2025년까지 75%로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환경과학원은 과제선정-최종평가까지 참여하는 책임평가위원제도를 도입한다.
아울러 공공연구기관의 개방형 연구생태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12개 국립연구기관은 관련분야 산·학·연·관 교류를 확대하고, 타 기관과의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 수요를 발굴·추진하는 등 소관 분야에 대한 개방형 혁신 생태계를 주도할 계획이다.
농림·수산·식품은 중앙-지역 간 협업 확대 및 해당분야 국립연 연구협의체 운영을 활성화하고 전파연은 ETRI, 전자파학회 등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연구기획TF 구성, 역할분담·과제발굴을 추진한다.
국과수는 법무부, 검찰청, 경찰청 등 수사분야 유관기관과 성과공유·인력교류를 활성화하고, 기상과학원은 국토교통부(도로), 행정안전부(재난), 농촌진흥청(농업) 등 수요맞춤형 기상R&D를 추진한다.
이밖에도 과기정통부와 관계부처는 올해부터 16개 국립연구기관 임무를 기준으로 연구개발전략, 추진현황, 주요성과 등을 분석해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공공연구기관 R&D 성과분석’을 최초로 도입·추진 중이다.
이경수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디지털전환, 기후변화, 신종감염병, 미·중 기술패권 등 급변하는 환경을 과학기술 중심으로 선도하기 위해서는 농·수산·임업 및 전파·안전·보건·환경 등 국가기반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국립연구기관의 혁신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학기술혁신본부는 국가R&D 100조원 시대에 걸맞는 국립연구기관의 혁신노력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배분, 평가 등과 연계해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