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코어

홍 부총리, “전기차 전문정비소 2025년까지 3300개 확충”

“전기차 배터리 평가항목 11개로 확대…수소차 검사소도 내년까지 23곳 운영”

곽금미 | 기사입력 2021/04/01 [18:59]

홍 부총리, “전기차 전문정비소 2025년까지 3300개 확충”

“전기차 배터리 평가항목 11개로 확대…수소차 검사소도 내년까지 23곳 운영”
곽금미 | 입력 : 2021/04/01 [18:59]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일 “전기차 전문정비소를 2025년까지 3300개, 수소차 검사소도 내년까지 2배 이상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혁신성장 BIG3(미래차·바이오헬스·시스템반도체) 추진회의에서 “친환경차 충전 중 화재, 배터리 대규모 리콜 등이 이어지면서 안전성 문제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



이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 따라 소비자 우려를 불식시키고 기업의 자율적 리콜 등 안전확보 노력과 함께 정부 차원의 안전성 제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전기차 핵심부품인 배터리 안전성 시험항목을 기존 7개에서 11개로 확대하고, 충돌 안전성 평가대상에 전기차 4종을 추가하며, 수소버스 제작·안전기준을 신설하는 등 차량 안전성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또 새 유형의 차량 화재 대응기술과 장비 개발을 내년까지 완료하고, 일반 내연기관차 중심인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의 친환경차 결함조사 시설·장비도 단계적으로 확충할 방침이다.

 

정부는 친환경차 전환이 가속화하면서 정비인프라도 확충한다.

 

2019년 기준 1100개인 전기차 전문정비소를 2025년까지 3배에 달하는 3300개로 늘린다.

 

자동차학과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수소차 검사소도 내년까지 2배 이상 늘어난 23개를 운영한다.

 

이와함께 전기차 충전설비 설치 시 전기안전공사 안전 점검을 의무화하고, 점검항목·이력 등에 대한 통합관리시스템 구축도 추진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과 생산역량 확충 방안도 논의했다.

 

차세대 전력반도체는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등 디지털·그린 뉴딜 핵심부품이지만, 생산규모와 기술력 부족 등으로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따라 정부는 2025년까지 핵심제품 5개 이상을 상용화하는 등 국내 자립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수요연계형 상용화와 핵심기술개발, 제조역량 확충 등 3단계로 집중 지원에 나선다.

 

홍 부총리는 “먼저 반도체, 충전기 등 상용화과제 기획과 발굴을 위한 수요-공급기업간 연대협력협의회를 개최할 것”이라며 “2022년까지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 시제품 지원 물량을 월 300장에서 600장으로 2배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100억원을 투자해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과 SiC(실리콘카바이드) 등 3대 핵심소재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을 집중 지원한다”고 덧붙였다.

 

회의에서는 K-방역 맞춤형 수출지원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홍 부총리는 “방역 물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 급증, 공급망 재편을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차별화된 수출 전략이 시급하다”며 “K-방역 집중수출 품목을 선정·지원하는 한편 중장기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출지원제도 확충도 병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위해 정부는 마스크 등 현 주력수출품목 4개, LDS(최소잔여형) 주사기 등 수출주력상품화 필요 품목 4개, 혁신형 진단키트 등 상용화 필요품목 2개 등 10개 중점 수출 품목을 선정했다.

 

홍 부총리는 “올해 중 K-방역 전용 수출바우처 30억원, 수출금융 100억원 등 자금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시험인증 전용창구 개설, 해외 인허가정보 제공 등 수출지원제도도 확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상반기 중 진단시약, 소프트웨어(SW), 진단검사 등 지역별·국가별 맞춤형 패키지 상품을 개발해 해외수요에 대응하는 등 중장기 경쟁력 강화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