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군 황새공원 야생복귀연구팀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겨울철 월동 황새를 조사한 결과 100∼150여 마리가 국내에 도래했으며, 2019년(60∼88마리)에 비해 1.6배 이상 개체수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월동 황새 개체수 증가의 원인은 군에서 2015년부터 시작된 황새 야생 방사 연구로 국내 텃새 황새가 증가했으며, 5년간 116마리를 방사해 폐사, 구조, 실종 황새(51마리)를 제외하면 약 65마리가 생존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러시아 아무르강 유역과 중국 흑룡강 유역의 황새 번식지의 적극적인 보호 노력으로 국내에 겨울철 도래하는 철새 황새의 개체수가 증가했기 때문으로도 분석되고 있다.
예산황새공원 야생복귀연구팀은 GPS발신기(WT-300)를 황새에게 부착해 이동경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5년간의 연구를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로 이동하는 황새 이동경로를 분석했고 황새가 선호하는 서식지를 찾아내고 있다.
아울러 문화재청 지원으로 진행하고 있는 전국 황새모니터링 네트워크(약 40곳, 50여명)의 현장 관찰과 제보를 통해서도 서식 환경에 대해 상세히 파악하고 있다.
올 겨울철에 조사된 핵심 월동지역은 △고창군 해리면(최대 80마리) △만경강 유역(최대 71마리) △보령호(최대 65마리) △서산 천수만(최대 48마리) △화성시 화옹호·시화호(최대 33마리) △무안 청계면(최대 31마리) △장흥만(최대 30마리) 등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의 조사 결과 11월에 러시아와 중국에서 내려오는 철새 황새와 군에서 방사한 텃새 황새가 만나 함께 겨울을 나고 2월 말 러시아와 중국 철새 황새는 다시 북상해 돌아가고, 국내 텃새 황새는 한국에 머무는 것으로 확인됐다.
황새 무리는 한 곳에 오래 머물지 않고 기온 변화와 먹이 자원에 따라 이곳저곳 장소를 옮겨 다니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기후 변화로 북극발 한파가 장기화되면서 국내에 도래한 황새 무리들이 물이 얼지 않는 하천에 몰리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평년에는 보통 10∼20마리가 작은 무리를 지었으나 올해는 강추위에도 얼지 않는 하천만을 골라 30∼80마리의 큰 무리를 형성해 추위를 피하는 이례적인 모습이 관찰됐다.
또한 예산황새공원에서 방사한 일부 황새는 GPS발신기(WT-300) 추적결과, 11월에 중국 보양호와 대만 큉쉬습지로 이동해 겨울을 보내고 있다.
대만조류사진작가협회의 관계자는 “대만지역은 겨울철 기온이 10∼15도 정도로 한국에서 날아온 황새가 이곳에서 따뜻한 겨울을 보내고 먹이도 잘 먹고 있다”며 “대만에서는 보기 드문 황새를 겨우내 볼 수 있어 많은 사진작가들이 몰려들고 있다”고 말했다.
예산황새공원 야생복귀연구팀 관계자는 “천연기념물 199호이자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인 황새 개체수가 증가하는 것은 좋은 소식이나 월동 지역의 서식 환경을 보호 관리하는 것이 더욱 큰 과제로 남아있다”며 “조류사진작가, 수렵인으로 인해 추위를 피하는 황새들이 방해를 받고 어려움을 겪은 만큼 핵심 월동지역에 대해 관계 부처와 해당 지자체에 의한 적극적인 보호·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예산황새공원에서 방사한 황새는 번식시기에는 예산군과 태안군 등 인근 지역에서 주로 서식 및 번식을 하고 있으며, 겨울철에는 추위를 피해 서산, 화성, 만경강, 고창, 장흥, 무안, 담양 등의 중·남부지역의 해안과 가까운 지역에서 월동하고 이듬해 다시 번식지역으로 돌아오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