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혁신기업 2025년까지 4000개 발굴·지원한다태양광·풍력·분산전원 등 6대 핵심 분야 선정…5년 내 일자리 6만개 창출
정부가 2025년까지 그린뉴딜을 이끌어 갈 전기차 배터리 등 6대 유망분야 에너지 스타기업 4000개를 발굴, 지원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우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에너지혁신기업 간담회를 열고 그린뉴딜을 위한 주요 과제인 ‘녹색산업 혁신생태계 구축’ 추진의 일환으로 ‘에너지혁신기업 지원전략’을 수립·발표했다.
이날 에너지혁신기업 간담회에는 쏘울에너지, 솔라커넥트, 해줌 등 유망 에너지혁신기업 8개사, 공기업·대기업 및 유관기관 관계자가 참석, 에너지혁신기업 지원을 위한 세부방안을 논의했다.
에너지혁신기업은 기술력과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신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전력 수요관리 등 에너지 신산업에서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소·중견기업을 의미한다.
현재 2029개사가 에너지혁신기업으로 분류돼있으며 2018년 기준으로 이들 기업의 매출액은 96억9000만원, 매출액 증가율은 9.4%, 영업이익률은 4.6%를 기록했다.
이날 간담회에 앞서 정부, 공기업, 유관기관은 ‘에너지혁신기업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서(MOU)’를 체결했다.
참석기관들은 이번 MOU를 계기로 유망 혁신기업 발굴, R&D와 연계한 인증·평가 지원, 금융지원 및 투자유치 활성화, 제도 개선 등을 함께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체결식에 참석한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에너지혁신기업의 성장 생태계가 조성되어야 그린뉴딜의 성공적인 이행도 가능하다”며 “에너지산업에서 새로운 산업생태계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유관기관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MOU 체결식 이후 이어진 에너지혁신기업 간담회에서 산업부는 2025년까지 에너지혁신기업 4000개를 발굴·지원하기 위한 ‘에너지혁신기업 지원전략’을 발표했다.
유망 에너지혁신기업 육성을 위해 에너지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기업들의 역량과 잠재력, 중장기 정책방향 등을 고려해 도출된 ‘6대 핵심 유망분야’를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6대 핵심유망 분야는 ▲태양광 운영관리(O&M) ▲분산전원 가상발전소 ▲풍력 지원서비스 ▲전기차 배터리 관련서비스 ▲에너지신산업 소·부·장 ▲건물 에너지효율 관리 등이다.
가 2025년까지 그린뉴딜을 이끌어 갈 태양광 운영관리 등 6대 유망분야 에너지 스타기업 4000개를 발굴, 지원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우기로 했다.
먼저 태양광 O&M 분야는 시장 활성화를 위해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효율지표를 개발하고 대형 발전소에 예측·분석 의무와 효율목표를 부과한다.
O&M 전문화를 위해 ‘태양광 O&M 표준매뉴얼’을 제정하고 관련 기술·서비스의 혁신을 위해 연구개발(R&D) 예산은 올해 88억원에서 2025년까지 300억원으로 확대한다.
분산전원 가상발전소는 시장 활성화와 비즈니스 모델 다양화를 위해 수요감축과 반대개념으로 재생에너지 최대발전량 시간대에 수요증가를 통해 대응하는 ‘플러스 DR’을 도입하고 전력중개 모집자원 기준도 개선한다.
계통 회피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를 도입하고 가상발전소(VPP) 운영·관리·보안을 위한 기술개발 예산을 올해 187억원에서 2025년까지 400억원으로 확대한다.
풍력 지원서비스는 공공주도 대형 풍력단지의 단지설계, 사업 타당성 검토 등에 에너지혁신기업 참여를 확대해 틈새시장 중심으로 풍력산업 생태계 조성을 추진한다.
기존 풍력단지 및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와 연계해 O&M 실증 및 전문화를 지원하고 단지설계, O&M 등의 새로운 기술·서비스 검증을 위한 사업을 신설하는 등 R&D 투자도 올해 300억원에서 2025년까지 500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전기차 배터리 관련서비스를 육성하기 위해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센터와 협력해 사용후 배터리 성능평가 및 분류체계를 마련한다.
제주에서는 2022년까지 69억원을 들여 성능·안전성 평가, 분류체계 마련 등을 위한 실증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전기차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확산을 위해 전기차 부품 데이터 플랫폼(전자기술연구원)을 구축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확산을 위한 실증특례 사업도 발굴·지원할 계획이다. 관련 R&D 예산도 올해 95억원에서 2025년 200억원으로 늘린다.
에너지 신산업 소부장 분야는 태양광(공정장비, 지능형 인버터 등)·풍력(해상풍력 플랜트, 부유체 등)·이차전지(차세대 배터리 등)·스마트기기(AMI, 스마트센서 등) 등 4대 분야에서 수요 연계형 R&D 협력모델을 발굴해 지원한다.
건물 에너지효율 관리 분야는 건물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표준을 마련하고 스마트센서, 분석·관리 소프트웨어 등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위한 R&D 예산을 올해 225억원에서 2025년까지 450억원으로 증액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기술개발 지원·민간투자 촉진·지원인프라 구축 등의 지원전략을 마련했다.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수요기업·인증기관이 R&D에 적극 참여하는 ‘혁신조달 연계형 R&D’를 추진하고 트랙레코드 확보를 위해 공기업과 함께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공동 참여형 R&D’도 신설한다.
신기술과 새로운 제품·서비스 검증을 위한 ‘에너지산업 기술검증 사업’을 도입하고 민간의 투자를 확보한 우수 에너지혁신기업에 사업화 R&D와 함께 금융, 마케팅 등을 패키지로 지원한다.
민간투자 촉진을 위해 한국형 뉴딜펀드의 子펀드로 ‘신재생에너지 생태계 펀드(가칭)’ 조성을 추진하고, ‘투자대상 가이드라인’을 마련, 관련 펀드들의 에너지혁신기업에 대한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에너지혁신기업의 증권시장 상장을 촉진하기 위해 기술특례 상장 전문기관에 에너지기술평가원을 추가하고, 에너지신산업의 기술·기업가치 평가모델(Valuation Model) 개발도 추진한다.
지원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수립 기반 마련을 위해 ‘에너지혁신기업 실태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에너지 산업·시장 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에너지산업 분류체계 개선을 추진한다.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를 에너지혁신기업의 지역거점으로 육성, 에너지혁신기업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지역내 산·학·연과 연계한 ‘종합 실증연구단지’와 ‘소부장 특화단지’를 구축한다.
이와 함께 공기업, 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실증 인프라와 기업지원 사업 등을 활용하기 위한 협업체계도 마련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전략을 토대로 2025년까지 에너지혁신기업을 현재의 2배인 4000개(매출액 1000억 이상 50개)로 늘리고 새로운 일자리 6만개를 창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성윤모 산업부장관은 “탈탄소화·분산화·디지털화로 대표되는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신기술과 아이디어로 무장한 에너지혁신기업들이 에너지산업에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