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코어

지난해 아프리카돼지열병에 살처분한 농장, 다시 돼지 키운다

경기·강원 261개 양돈농장 11개월 이상 발생 없어…확산 차단 ‘가을철 방역 대책’도 추진

곽금미 | 기사입력 2020/09/09 [17:55]

지난해 아프리카돼지열병에 살처분한 농장, 다시 돼지 키운다

경기·강원 261개 양돈농장 11개월 이상 발생 없어…확산 차단 ‘가을철 방역 대책’도 추진
곽금미 | 입력 : 2020/09/09 [17:55]

지난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으로 사육돼지를 살처분한 양돈농가가 다시 돼지를 키울 수 있게 됐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는 경기·강원 지역의 사육돼지 살처분·수매 농장 261호에 대해 재입식(돼지를 다시 들임) 절차를 추진한다.

 

접경지역 집중소독·축산차량 이동통제와 같은 적극적인 방역 조치와 양돈농가의 노력으로 지난해 109일을 마지막으로 11개월 이상 사육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중수본은 전문가 의견 등을 검토, 양돈농가의 재입식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야생멧돼지에서는 양성개체가 여전히 발견되고 있는 상황임을 고려해 가을철 방역 대책을 철저히 이행하고 재입식 추진 과정에서 세척·소독, 방역시설 점검 등 관련 방역 조치를 철저히 준수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검출현황(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 제공)  ©



중수본은 농장 세척·소독, 중점방역관리지구 지정, 농장 평가의 3단계 과정을 거쳐 재입식을 추진한다.

 

농장 내 분뇨는 표준행동지침(SOP)에 따라 반출·처리하고 축사 내·외부를 청소·세척·소독한 후 3단계 확인 점검을 실시한다.

 

사육돼지·야생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거나 물, 토양 등 환경시료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된 위험지역은 중점방역관리지구로 지정하고 8가지 강화된 방역시설 기준을 적용한다.

 

이후 지방자치단체·검역본부·전문가 합동 평가단이 농장 청소·세척·소독 상태와 강화된 방역시설 완비여부(농장 종사자의 방역 의식 및 이행실태 평가 포함), 농장 주요 지점 내 바이러스 검출 여부 등 환경 검사를 시행한다.

 

다만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농장과 해당 농장서 500m 내 농장은 SOP에 따른 입식시험 후 농장 평가 및 환경 검사를 실시한다.

 

이후 평가 결과에 이상이 없는 농장부터 돼지 입식을 진행하되 미흡한 농가는 보완·재점검 후 환경 검사를 다시 받아야 한다.

 

농장 종사자 교육, 소독 등 관련 방역조치도 빈틈없이 추진한다.

 

중수본은 재입식 세부 절차, 농장 세척·소독 요령, 종사자 방역수칙, 방역시설 설치 기준 등을 담은 농가 안내서를 제작, 배포하고 1·2차 농장 세척·소독 점검, 현장 컨설팅을 통해 농장을 직접 방문해 농장주 및 종사자 방역교육을 실시한다.

 

또 사료 운반, 분뇨 처리 등 농장 진입이 필수적인 차량은 사전 등록하게 하고 이들 차량이 거점소독시설을 방문했는지, 필수 이외의 차량이 진입하는지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재입식 농장 주변과 해당지역의 주요 도로에 대한 소독도 이달부터 강화한다.

 

아울러 중수본은 경기·강원 북부지역의 야생멧돼지로 인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지속발생 등 엄중한 방역상황이 유지되고 있는 점을 감안, 확산을 막기 위한 가을철 방역 대책도 수립,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울타리 취약구간을 보강하고 양성개체의 남하 저지를 위한 울타리를 추가 설치한다.

 

교차로, 마을지역 등 취약구간을 일제히 보강하고 출입량이 많은 구간에는 자동닫힘 출입문 설치를 확대하는 한편 울타리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거나 관리원의 접근이 어려운 구간에는 CCTV를 설치, 상시 감시체계를 강화한다.

 

인제 백두대간 지역으로의 야생멧돼지로 인한 바이러스의 확산 차단을 위해 기존 소양강 상류-진부령 구간(21km) 울타리를 보강(복선화)하고 미시령 옛길(23km)을 따라 추가 노선을 설치한다. 소양호 이남 지역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춘천 동면-가리산-인제 38대교 구간 확장 노선 설치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 광역울타리 내(발생지역), 광역울타리 경계(완충지역), 완충지역~영동고속도로(차단지역) 지역별 포획전략을 적용하기로 했다.

 

외부로의 확산 위험이 있는 발생지역과 완충지역에서는 포획도구(포획틀·포획장 등)를 활용해 포획하고 특히 완충지역은 특별 포획단(80여명)을 투입, 포획틀을 활용하기 어려운 산악지역에 대한 포획을 강화한다.

 

차단지역은 광역수렵장을 개설하여 총기포획(엽견 사용)을 활성화하고 엽사의 발생·차단지역 내 출입을 엄격하게 제한한다.

 

이와 함께 폐사체 수색 인력을 증원(257352)하고 위치정보시스템(GPS)을 적극 활용, 미확인 지역을 최소화한다.

 

또 최근 설악산 국립공원 인접지역에서 양성개체가 발생함에 따라 국립공원공단 인력을 투입, 국립공원 내 지역 및 인접지역 수색도 강화한다.

 

감염우려 경로에 대한 환경조사와 소독도 강화한다.

 

DMZ 지역, 접경지역 주요 하천 30개소에 대한 하천수와 토양 등 환경시료 검사와 ASF 매개우려 동물(너구리, 모기 등) 조사를 강화하고 전담 소독인력을 활용해 멧돼지 양성개체 매몰지, 발생지점 주변 및 멧돼지 서식흔적(목욕장, 비빔목 등) 등 감염 우려 지역에 대한 소독을 강화한다.

 

하천변, 비탈면에 위치해 강우 시 유실 우려가 있는 양성 매몰지는 단계적으로 소멸 조치할 계획이다.

 

농장단위 방역 강화대책도 마련했다. 가용 소독차량 약 980여대를 최대한 동원, 멧돼지 양성개체 발견지역부터 농장까지의 바이러스 이동경로를 집중 소독한다.

 

특히 인제·춘천 등 최근 새로이 양성개체가 발견된 지역 10곳은 주변 도로 등 차량접근 가능지점까지 방역차량 8대를 즉시 투입하는 등 추가 발생지역의 오염원 제거에 나선다.

 

양성개체 발견지점 중 차량 진입이 힘든 곳은 소독 인력과 방제드론 7대를 활용하는 등 소독 사각지대를 해소한다.

 

이와 함께 사육돼지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전파되지 않도록 농장 방역시설 점검·보완과 방역수칙 이행 지도를 지속 추진한다.

 

아울러 내부울타리 등 접경지역 양돈농장 차량 출입통제를 위한 시설 개선을 조속히 완료하고 시설 완비 전까지 농장초소를 운영, 출입 차량을 소독한다.

 

매개체 차단을 위해 매주 수요일 축산 환경·소독의 날을 운영, 대대적인 농장청소·소독 및 쥐·해충 제거 캠페인을 추진하고 지자체와 농협 차량으로 양돈농장의 해충 방제를 지원한다.

 

또 사람과 접촉이 잦은 모돈에서 발생 위험이 높은 만큼 모돈 ASF 위험주의보를 발령, 모돈사 출입 인원 최소화, 위생장갑 착용 등 방역조치 이행실태를 점검하고 외국인 종사자도 방역수칙을 숙지할 수 있도록 교육·홍보와 함께 방역인식수준 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수확철 영농활동으로 인한 바이러스 전파 등 가을철 아프리카돼지열병 위험요인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경기·강원 북부지역에서 양돈과 일반 영농을 겸업하는 농가에 대해 점검을 강화하고 야생멧돼지 양성개체 발견지역에 농경지를 소유한 영농인에게는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영농활동 시 준수해야 할 방역수칙을 지속 안내한다.

 

가을철 산행으로 인한 농장 내 바이러스 유입 위험이 없도록 한돈협회와 협업, 양돈농장 종사자가 야생멧돼지 양성개체 발견지역에 대한 산행자제 조치에도 나선다.

 

박병홍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종식을 위해서는 농가에서 소독·방역시설을 완비하고 방역 기본수칙 준수를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하다재입식 과정 중 출입 차량·사람 소독 등 방역조치 이행에도 각별히 신경 써 달라고 당부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