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청년정책 2930개중 22%가 ‘교육훈련 제공’고용정보원, 지난해 전국 청년정책 현황·특징 소개…이공계열 중심 정책이 54.8%
지난해 전국의 청년정책 2930개중에서 ‘교육훈련 제공’이 636개(21.7%)로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은 2020년 전국 청년정책 현황과 특징을 온라인청년센터(www.youthcenter.go.kr) 게재 정책 2930개 기준으로 정리한 결과를 소개하며 이공계열 중심의 정책은 54.8%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전국에서 시행된 청년 정책은 총 2930개로 중앙정부 정책 239개(8.2%)와 지역자치단체 2691개(91.8%)로 구성됐다.
이 중 전국 청년 정책 시행 기관은 총 271개로 중앙정부 기관이 31개(11.4%)로 나타났으며, 지역자치단체는 240개(88.6%)였다.
또한 청년정책을 많이 시행한 기관은 고용노동부 39개(16.3%), 중소벤처기업부 23개(9.6%), 교육부 22개(9.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1개(8.8%), 국토교통부 20개(8.4%) 순이었다.
지역별 청년 정책 시행 현황을 살펴보면 전북 373개(13.9%), 경기 318개(11.8%), 서울 294개(10.9%), 경남 269개(10.0%) 등이 많았다.
한편 정책별 지원대상 연령은 10~30대 대상 정책이 1600개(59.5%)로 가장 많았는데 대전은 55개(91.7%)로 대다수 정책이 10~30대였으며, 연령에 제한을 두지 않은 지자체 정책 비율은 경남 58.3%, 전남 56.5%, 전북 54.4% 순이었다.
전체 정책 중 교육 수준을 제시한 정책은 501개였고 이외에는 특별히 교육수준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교육수준을 설정한 정책 중 대학 재학생과 졸업생을 지원하는 정책이 335개(66.9%), 고교 재학생과 졸업생을 지원하는 정책은 55개(11%)로 나타났다.
각 청년정책의 자격 및 우대 요건을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전체 2930개 중 104개의 정책만이 전공 계열 요건을 명시하고 있었고 이공계열을 위한 정책이 57개(54.8%)로 가장 많았다.
각 정책의 취업 요건으로는 취업 상태 요건을 설정한 1712개 중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 886개(51.8%)로 가장 많았다.
청년정책 정보를 기준으로 서비스 성격을 유형화한 결과 교육훈련 제공 정책 636개(21.7%), 현금지원 507개(17.3%), 취업처 제공 359개(12.3%), 창업 종합서비스 278개(9.5%), 일반 종합서비스 208개(7.1%), 현물지원 174개(5.9%)였다.
이번 결과에 대해 고재성 한국고용정보원 청년정책허브센터장은 “중앙 및 지방정부가 다양한 청년정책들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력 및 전공에 따른 정책의 편중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학력별로 대학생 대상 정책(66.9%)에 비해 고교생 대상 정책(11%)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고, 전공별로는 지나치게 이공계열 중심의 정책(54.8%)이 편중돼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온라인청년센터는 전국 청년정책과 공간정보를 한데 모아 제공하는 웹사이트로, 지역·유형별 맞춤형 검색을 통해 본인에게 알맞는 정책을 확인해볼 수 있고 카카오톡·게시판·전화 등을 통해 무료 진로·취업 상담도 가능하다. <저작권자 ⓒ 뉴스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